본문 바로가기

개발 지식/환경설정

이클립스 톰캣 서버 실행 실습

 

1. 실습에 사용할 Dynamic Web Project 생성

 - 서버를 추가할 때  Create a new local server를 선택했다면 자동으로 톰캣의 버전과 모듈이 맞춰진다

 

 

2. webapp라는 폴더를 가진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.

 - src 아래에 java 폴더가 있지만 그 폴더는 배포되는 곳이므로 개발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. 자바는 Java Resources에서 개발을 진행한다. 코드를 지울 것이 있다면 src의 폴더가 아닌 Java Resources 폴더에서 삭제해야 한다.

 - 자바는 수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컴파일을 거치는 언어이기 때문에 서버를 껐다 켜야 반영이 된다.

 - 반면, html이나 css는 바로 서버에 반영이 된다.

 

 

3. 서버 메뉴에서 Tomcat>Add and Remove 선택

 

 

4. 서버를 사용할 프로젝트를 선택해준다.

 

 

5. 성공적으로 프로젝트가 들어온 모습

 

 

6. 우클릭 > start

 

 

7. 서버가 실행되게 되는데, 이때 서버를 멈추는 방법은 콘솔창 우측 상단의 빨간 버튼이다

 

 

8. 콘솔창을 보면 서버가 실행되는 로그가 찍힌다. 서버가 필요로하는 것은 주소와 포트이다.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로컬 서버가 (보편적으로) 8080 포트를 쓴다는 것이다.

 

 

9. 실습용 Html 파일을 생성한다

 

 

10. HTML 파일은 webapp 아래에 생성한다. HTML 파일의 제목은 소문자로 작성한다.

 

 

11. <a href="http://www.naver.com">안녕하세요</a>를 입력해준다.

 

 

12. localhost:8080/web000_HTML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. 해당 글자를 누르면 네이버로 연결이 된다

 

 

13. 성공적으로 연결된 모습이다.